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기술 (2) 전문적 관계형성의 요소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by 뜌뜌뜌뜌뜌 2023. 10. 5. 23:55

본문

728x90
반응형

전문적 관계형성의 요소
(1) 타인에 대한 관심과 원조의지
­ - 타인에 대한 관심과 원조는 어디에서 시작하나? → 사회복지사에게는 매우 유명한 명언
­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시작하라.”
● 도움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관심사를 최우선시 해야 한다는 것임
→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어떻게 규명하는지, 그 해결책이 무엇이라 생각하는지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와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가야 함

 

(2) 진실성과 일치성
­- 관계형성에서 진실하다.(Genuine)
● 서로에게 정직하고 위선되지 않는 것을 의미함
­- 진실성
● 흔히 “일치성”이라고도 불림
●  자신의 내면과 외면이 일치함을 일컫는 것
­- 일치성(Congruence)
●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관계형성 시 일관성 있고 정직한 개방성을 유지하며, 대화의 내용과 행동이 항상 일치하면서도 전문가로서의 자아와 가치체계에 부합하여야 함

 

(3) 클라이언트에 대한 존중
­- 사회복지사는 좋은 관계형성을 위해서 클라이언트의 인격을 존중한다는 것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야 함
­- 칼 로저스(C. Rogers) : 효과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가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관심”을 전달해야 한다고 함
­- 클라이언트를 비난하지 않고 이해하려는 태도로 긍정적인 관심을 전달한다는 것은?
● 한 인간의 가치와 존엄에 대한 신념을 전달하는 것
● 개인적 차이를 수용하며, 개인의 안녕에 대한 관심을 전달하는 것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독특한 개인적 문화, 배경, 개성을 존중해 주어야 하며, 나아가 그들이 선택할 자기결정의 권리를 존중해 주어야 함

 

(4) 감정 파악 및 다양한 표현 기술
­-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에게 도움을 요청할 때,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처한 상황에서 어떤 감정을 갖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함
● 문제가 자원의 부족이나 혹은 경제적 손실에 관련된 것일지라도 감정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의 감정을 잘 알아차려야 함
● 사회복지사가 효과적으로 감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용어를 정확히 인식하고 사용하는 기술이 요구됨

 

(5) 행위와 사람을 구분하기
­- 좋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 사회복지사는 개인으로 하여금 후회스럽고 잘못되었으며 불법적인 행동이나 결정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고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도움 → 개인을 인간으로서 존중하는 관계 속에서 가장 잘 성취될 수 있음
­- 개인의 행위만을 보지 말고 행위와 ‘인간으로서의 개인의 가치’를 구분한다면?
● 개인의 감정과 관심사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호존중을 높일 수 있음
· 예) 행위와 인간을 구분 짓는 표현
√ 어린아이에게 다음처럼 말한 경우 “넌 멋진 아이야, 하지만 네가 한 일은 옳지 못한 것이야.”

 

(6) 행위와 감정을 구분하기
­- 사람의 말은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지만 굳이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느끼고 생각하는 것이 반드시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음
→ 사회복지사는 감정이나 생각이 항상 행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감정이나 신념과 행위를 구분하도록 도와주어야 함

 

(7) 비언어적 또는 비음성적 의사소통 이해하기
­- 우리의 메시지의 약 65%는 말 이외의 수단으로 전달된다고 한다. ­

- 비언어적 행위가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우리의 생각과 느낌을 더 잘 표현해 준다는 점을 인식
­-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인 행동에 주의 깊게 관심을 기울여야 함

 

(8) 자기노출(Self disclosure) ­ 

-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경험을 클라이언트에게 말해주는 것도 바람직함
­- 클라이언트는 자신만이 문제를 겪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도 유사한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대처하고 극복해 나갔는지에 대한 간접적인 체험이 가능해짐
­- 사회복지사의 자기 노출 시기 : 클라이언트와 어느 정도 친밀감이 형성되어 사회복지사의 개인 노출 내용에 대해 인지적으로 심리적으로 왜곡된 해석이나 반응이 없이 있는 그대로 수용될 수 있을 때가 적절함

 

(9) 감정이입
­-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수용하며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표현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민감성
­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파악한 후에 사회복지사는 그 감정을 이해했음을 전달해야 함
● “감정이입적 반응(Empathic responding)”이라고 하는데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감정을 함께 공유”한다는 것임
● 사회복지사는 “내가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해 본 적이 있는가?”, “그때 어떤 느낌이었나?” 이러한 상상방법은 감정이입적 능력을 고양시키는 데 유용함

­- 감정이입은 동정심과는 다름
● 사회복지사는 힘겨운 상황에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동정심을 느끼게 될 수도 있음
● 동정심에 의한 관계형성은 원조전문가의 전문성을 떨어뜨리게 할 뿐 만 아니라 예상치않은 관계의 종결로 치닫게 되기도 함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