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기술 (5) 원조관계 형성의 방해요인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by 뜌뜌뜌뜌뜌 2023. 10. 7. 19:55

본문

728x90
반응형

 원조관계 형성의 방해요인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원조관계에서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요인들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모두로부터 발생될 수 있음
● 클라이언트에 의해 발생되는 방해요인 : 클라이언트의 내면적 요인인 전이, 양가감정, 저항, 타인에 대한 불신
  사회복지사로부터 발생되는 방해요인 : 역전이, 소진, 전문성 부족, 직면 등

 

(1) 타인에 대한 불신(Untrust)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와의 관계를 형성하기 이전에 스스로 자신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대처를 시도했을 수도 있고 원조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주변에 접근 가능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수도 있음
  그러나 주변인에게 도움을 청했던 클라이언트의 경험이 반드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임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기대와는 달리 주변인에게 거부당했거나 비난 받았을 수도 있음
   사회복지사의 온정, 관심, 공감하는 좋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어떤 클라이언트는 살아온 과정에서 격려와 인정을 받을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에게 의지하는 것이 쉽지 않고, 비난, 거부, 상처를 미리 예상하여 방어적 태도를 보이게 됨
  이런 상황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노출은 어려워지고 더 이상의 변화는 기대할 수 없고 오히려 다가서려는 사회복지사의 관심과 공감에 방어적 태도를 취하게 될 수도 있음
   클라이언트로부터 실망과 불신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의 원조과정에서 지킬 수 없는 약속을 하면 안 될 것임
  클라이언트가 비록 현재 잠시 실망하더라도 이를 위로하기 위해 실천할 수 없는 과장된 언행을 삼가며, 클라이언트를 위해 지나친 개입 계획을 설계하여 사회복지사 스스로 소진되는 것은 장기적인 원조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

 

(2) 저항(Resistance)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서 변화를 방해하는 힘
   개입목표와는 반대되는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말함
· 클라이언트가 이런 행동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의식하지 못하고 사회복지사의 눈에만 보이는 경우가 많음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변화를 유도하고자 함
·   클라이언트는 변화에 대한 불안, 불신, 두려움 및 자포자기 등 다양한 이유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을 거부하기도 함
  흔히 정신분석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무의식에 대한 정신분석 과정에서 클라이언트가 현실로 인식하기에는 너무나 고통스러웠던 경험의 경우 치료자인 타인에게 드러내기에 불편한 정서임
·   이를 억압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자신의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현상을 저항이라고 하였음
  저항이란 정신분석가의 전문적 치료과정에 역행하는 클라이언트의 반응이라고 해석한 것
   오늘날은 클라이언트의 저항을 반드시 부정적인 것으로만 해석하지는 않음
·   클라이언트의 잠재적인 내적 불안의 근원을 파악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임

 

(3) 양가감정(Ambivalence)
  저항의 근원지는 인간의 양가감정(Ambivalence)에서 찾을 수 있음
·   인간은 변화를 원하여 도움을 청하면서도 동시에 익숙한 것을 버리고, 새로운 행동을 해야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변화에 대한 저항을 가지게 됨
  또 다른 저항의 근원지는 서비스와 개입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익숙하지 못한 상황에 직면하는 것이 두려워 저항을 보일 수 있음
·  사회복지사와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해야 하는 클라이언트가 갖게 되는 자연스런 감정일 수도 있음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 될 원조과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통해 다가올 변화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불안을 낮춰주는 노력이 필요함

 

(4) 전이(Transference)
  클라이언트가 다른 사람(대개 부모, 부모를 대신하는 사람, 형제자매)과 과거의 경험에서 비롯된 소망, 두려움, 그리고 다른 감정을 사회복지사에게 보이는 것임
·  이러한 감정들은 아주 어린 시절에 그 뿌리를 두고 있거나 과거의 경험했던 일에 대한 것으로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분노, 원망, 증오와 같은 부정적인 전이만이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님
  긍정적인 감정도 마찬가지로 저항으로 작용하여 변화를 일으키지 못함
·  정신분석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음
  과거 클라이언트가 살아가면서 맺었던 대상과의 관계에서 갖게 된 복잡한 심리적 덩어리인 콤플렉스를 현재 만나게 된 대상 즉,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그 감정을 옮겨 재현시키는 것임
·  예)

√ 클라이언트가 과거 부모형제라든지 교사, 선후배 및 직장 동료 등과의 관계에서 경험했던 역동적인 감정(예 : 분노,
공포, 불쾌함, 격려 받음, 기쁨, 희망 등)의 경험들이 사회복지사를 만나게 되면서 무의식으로부터 살아나게 되는 것임
√ 만일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를 과거의 대상이었던 아버지와 유사하게 인식하게 된다면 마치 자신의 아버지와 경험했던 감정양식을 사회복지사에게도 적용하게 될 것임

 

(5) 역전이(Transference)
  전이와는 반대되는 개념

·   사회복지사 개인이 성장 과정에서 맺었던 대상과의 관계로부터 갖게 된 복잡한 심리적 덩어리인 콤플렉스를 현재 만나게 된 대상인 클라이언트에게 무의식적으로 그 감정이 옮겨 재현되는 것임
  왜곡된 인식과 감추어진 부분, 소망과 치료를 방해하는 감정 반응과 행동을 만들어내면서 관계를 악화시킴
·   예)
√ 사회복지사가 과거 자신의 가족구성원, 배우자, 교사, 선후배 및 직장 동료 등과의 관계에서 경험했던 역동적인 감정(예 :
분노, 공포, 불쾌함, 격려 받음, 기쁨, 희망 등)의 경험들이 클라이언트를 만나게 되면서 무의식으로부터 살아나게 되는 것임
√  만일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를 마치 자신의 어머니로 연상하면서 관계를 형성하다면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독특성을 지닌 개인이 아니라 자신의 과거 대상의 일부로 해석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임

 

(6) 전문성(Specialty) 부족
  사회복지직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와 원조관계를 형성해야 함
  미숙하거나 부적절한 사회복지사의 태도의 경우
·  클라이언트가 경험하는 중요한 감정을 인식하지 못함
·   클라이언트가 비난이나 비방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보냄
·   태만해지거나 클라이언트를 무시하거나 적절치 않게 직면을 사용함
·   클라이언트가 성장하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함
   클라이언트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전문적 지식과 훈련을 갖춘 이후 실천적 개입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7) 직면(Confrontation)의 부작용
  때때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에 대한 원인과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는 통찰력이 부족하여 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 간에 모순을 인식하지 못할 수가 있음
   만일 인식하더라도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원인을 수용하길 바라지 않을 수도 있음
   이럴 때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통찰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직설적인 태도나 화법 등으로 현상에 직면하게 할 수도 있음
   하지만 직면의 활용은 클라이언트가 관련된 상황을 수용할 준비가 충분히 무르익기 전에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음
   직면의 활용은 클라이언트와 충분한 친밀감이 형성되어 반감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도록 사전에 충분한 분위기 조성을 갖추어야 할 것임

 

(8) 소진(Burn out)
  제한된 시간에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만나 원조를 계획해야 하는 대다수의 사회복지사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주어진 업무로 인해 소진을 경험하게 됨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원조계획을 구성하게 하기 보다는 주어진 최소한의 업무만을 유지하는 상태에 머물게 할 수 있음
   소진 상태에 있는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원조관계를 맺게 될 경우 냉소적인 태도로 최소한의 서비스만을 제공하게 될 수도 있음
·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간 중심적 서비스가 아닌 과업 중심적 태도로 변질되는 것임
  사회복지사는 원조전문직으로서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스스로의 방책을 설계해 둘 필요가 있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