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회계층의 체계와 체계 이론 (1) 계층의 개념과 계층 체계

사회학개론

by 뜌뜌뜌뜌뜌 2023. 8. 27. 21:28

본문

728x90
반응형

계층의 개념

(1) 계층
 인간은 사회적 삶을 살아가기 위해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는데, 사회적 자원이란 사회에서 가치가 있다고 쳐주는 모든 것을 말합니다.

 

 예)옷이나 식량 집 건강 등과 같은 기본적 자원 외에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돈이나 권력, 인기, 자동차, 휴대폰, 컴퓨터 등의 자원


모든 사회는 이러한 자원을 그 구성원들에게 똑같이 분배하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많은 재산이나 권력을 가지는데, 어떤 사회에서 자원이 구성원들에게 똑같이 분배되지 않는 현상을 사회적 불평등(social inequality)  라고 합니다
 유사한 개념으로 불공정 또는 불공평(inequity unfairness) . 또는 이라는 개념이 쓰입니다.

 

▶ 불공정 (inequity)
정의(justice)라고 하는 가치가 개입된 개념으로 자원의 분배가 옳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

▶ 불공평(unfairness)
자원이 결과적으로 똑같이 분배되지 않는 현상으로 사실적인 차원에서 확인이 가능.

 

평등한 분배가 옳은 분배 또는 공정한 분배임을 그대로 이야기 해주지 않습니다.


예) 빈둥빈둥 노는 사람이나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나 똑같은 보상을 받는다면 이것을 옳다고 판단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평등한 분배와 공정한 분배는 별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집단의 차원에서도 사회적 불평등이 발생하는데, 어떤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보다 많은 자원을 소유합니다. 어떤 집단들이 사회적 자원에 대한 통제나 접근에 있어 위계적으로 서열화된 불평등 현상을 사회계층(social stratification) 이라고 합니다 서열화된 집단은 지구의 표면을 겹겹이 둘러싸고 있는 지층(strata) 과 같은 모습을 지닙니다.
사회계층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집단 간의 불평등이 복권에 당첨된 것처럼 우연한 기회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사회구조에 내재화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계층에 속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수준이나 얻고자 하는 건강의 정도, 갖고자 하는 생활수준 등과 같은 삶의 기회(life chance) 에서 비슷한 처지가 됩니다.

 

 

계층 체계

(1) 카스트 사회
 오늘날 폐쇄형 계층체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카스트’는 힌두교의 종교적 원리에 따라 위계적으로 나뉜 사회신분 집단을 일컫는 말입니다. 카스트사회에서 개인의 지위는 자신이 태어난 가족의 지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지위는 평생 동안 변하지 않습니다.
 즉, 개인의 귀속지위 (ascribed status)  가 카스트의 위치를 결정해 줍니다. 이러한 개인의 카스트를 결정해주는 대표적인 특성으로 피부색과 부모의 직업이나 종교, 성, 부모의 신분 등이 있습니다.
카스트의 신분은 가족을 통해 다음 세대로 세습되기 때문에 카스트사회의 사람들은 같은 사회적 지위에 있는 사람들끼리 혼인하는 족내혼(endogamy) 의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족내혼을 통해 카스트의 순수성은 유지됩니다.
카스트가 서로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은 높은 카스트 신분의 사람을 더럽히고 경멸하는 행위로 간주합니다 . 이를 의식적 오염  (ritual pollution) 이라 부릅니다. 의식적 오염이 발생하면 카스트의 순수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관련된 사람들을 추방하거니 사형 또는 보다 낮은 카스트로 강등시키는 정화의식(cleansing ritual) 을 행합니다.
 산업화 이전의 사회인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와 로마제국, 중세유럽, 모두 귀족과 평민, 노예, 농노 등의 신분을 가진 카스트체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미국도 1863 년 노예제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기 전까지 노예제를 시행하였으나, 이후에도 카스트적 인종차별 관행을 100 여년 간이나 유지합니다.
한국의 조선시대에도 양반과 상민, 천민의 세 가지 기본 신분이 존재합니다.
카스트체계의 원형은 인도의 카스트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사람은 자신의 운명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주어진 일을 도덕적 의무로서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는 힌두교의 근본적 믿음에 기초하고 있는 인도의 카스트제는 브라민(Brahmin)과 크샤트리아 (Kshatriya), 바이샤(Vaishya), 수드라(Shudra) 라고 하는 4개의 기본적 카스트와 수천 개의 하위 카스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카스트는 대개 특정한 직업집단과 연관되어 있는데, 가장 높은 카스트인 브라민의 구성원은 성직자와 정신적 지도자, 크샤트리아의 구성원은 정치지배자와 장군, 대지주 등 바이야의 구성원은 상인과 일반 평민,수드라의 구성원은 일꾼과 하인 등입니다.
4 개의 카스트 밖에도 하리잔(Harijan) 이 있는데 이 계층은 카스트라는 지위도 갖지 못하며, 일반 사람들이 접촉하기를 꺼리는 최하위 불촉천민(untouchable) 입니다. 하리잔은 인도사회에서 가장 비천한 일로 치부되는 구걸이나 사람 오물 치우기, 쓰레기, 뒤지기 등으로 생계를 유지합니다.
 인도는 독립된 후 2 년이 지난 1949년 공식적으로 카스트제를 폐지하였지만 종교적 이념과 가치직업 및 혼인제도와 밀접히 결부된 이 제도는 3,000년 이상이 지난 지금에도 인도사회 전반에 걸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인도사회가 산업화되면서 익명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사회 관계에 대한 카스트의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습니다.

 

(2) 계급사회
 개인의 지위가 살아가는 과정에서 변할 수 있는 개방적 계층체계입니다. 근본적으로 개인의 계급은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출생이 아닌 개인의 노력이나 결정을 통해 획득한 직업이나 학력과 같은 성취지위(achieved status) 에 기초 합니다.
계급체계의 개방성은 계급구조 내에서 개인이 상위의 계급 또는 하위의 계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사회적 이동(social mobility) 를 가능하게 합니다.
카스트와 마찬가지로 계급 간에 경계가 존재하는데, 사회적 이동으로 인해 계급은 카스트처럼 뚜렷하게 규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계급들간의 경계는 선명하지 않으며 계급의 구성원조차도 항상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습니다. 또한 계급을 결정해 주는 기준도 상당히 유연적입니다.
 특히 상당히 복잡한 사회에서 계급을 결정해주는 요인은 부와 권력, 사회적 위세 등과 같이 다차원적으로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개인은 모든 측면의 계급적 요소를 다 가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예) 상당히 많은 사회적 위세와 인기를 지니고 있는 어떤 운동선수나 연예인은 권력은 별로없음, 사회적 존경이나 명예는 형편없는 어떤 정치인은 상당히 많은 권력을 가짐.

 

카스트처럼 계급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상위계급은 하위계급에 비하여 교육이나 일자리, 건강 등과 같은 사회적 자원에 대해 보다 많은 접근의 기회를 가집니다. 그러나 사회적 이동을 통해 이러한 자원에 대한 접근의 기회는 개인의 일생 동안 변할 수 있습니다.
산업화는 카스트제를 약화시키는 대신 계급제도가 성장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는데, 현대적인 산업생산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자유스럽게 이동하고 개인적인 능력을 중요시하며, 경제적 조건에 따라 직업을 빨리 바꾸는 것을 필요로 합니다. 주거와 직업에 대한 카스트제의 경직성과 고정성은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이러한 자유로움과 유연성에는 맞지 않습니다.

 

 

(3) 무계급사회
 많은 사람들이 계급이 없는 무계급 사회(classless society)를 이루기 위해 오래 전부터 노력해왔습니다. 그들은 사회적으로 가장 중요한 자원인 생산수단을 사유화 하지 않고 사회구성원이 모두 공유함으로써 무계급사회 또는 공산주의 사회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한 주장에 근거해서 20 세기 들어 러시아와 동유럽 중국 북한 쿠바 등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났고 또 사회주의 정부가 들어 섰습니다. 1990년대 초 소련과 동유럽국가들이 사회주의를 포기할 때까지 전 세계 인구의 25%이상이 소위 계급 없는 공산주의 국가에서 생존하였습니다.
실제로 공산주의 사회에서의 경제적 불평등이 자본주의 사회보다 낮았습니다.

 

예) 구소련에서 의사의 봉급이 공장노동자나 관리자의 봉급과 거의 같았음 하지만 이 사회에서도 계급이 사라지지 않았음을 여러 연구자들이 밝히고 있음

 

개인의 지위가 살아가는 과정에서 변할 수 있는 개방적 계층체계입니다.
근본적으로 개인의 계급은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출생이 아닌 개인의 노력이나 결정을 통해 획득한 직업이나 학력과 같은 성취지위(achieved status) 에 기초 합니다.

 

오늘날 폐쇄형 계층체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카스트’는 힌두교의 종교적 원리에 따라 위계적으로 나뉜 사회신분 집단을 일컫는 말입니다. 카스트사회에서 개인의 지위는 자신이 태어난 가족의 지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지위는 평생 동안 좀처럼 변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