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신역동모델 (7) 정신역동모델의 사회복지 실천의 과정 과 주요 실천 기술들 ①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by 뜌뜌뜌뜌뜌 2023. 11. 8. 23:34

본문

728x90
반응형

정신역동모델의 사회복지실천 과정과 주요 실천기술
(1)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정신역동모델의 목표 :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동기를 각성 · 통찰할 수 있게 하여 의식수준에서 행동할 수 있게 하여 의식수준에서 행동할 수 있게 도우려는 것

 

­- 정신역동모델의 사회복지실천 과정의 구분
① 시작단계
● 클라이언트와의 만남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정신분석의 여부를 결정함

 

② 발달 및 전이단계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의 친숙한 관계를 형성함
●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무의식적인 갈등의 문제를 표출하게 됨
● 갈등과 관련 있는 중요한 인물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정서적 반응이 사회복지사를 향하여 나타나게 됨
·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전이’를 분석하여 클라이언트가 겪고 있는 갈등의 본질에 대한 통찰을 할 수 있음

 

③ 작업단계
● 꾸준한 만남 속에서 전이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심화함

 

④ 해결단계
● 전이의 분석이 종결되는 단계로서 사회복지사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무의식적이고 신경증적 애착을 해결하게 됨

 

(2)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실천기술
­- 무의식의 해석
­- 꿈의 분석
­- 자유연상
­- 저항
­- 감정이입
­- 전이와 역전이의 분석과 해석
­- 명료화
­- 공감
­- 보듬어 주기(Holding) ­ 훈습
­- 직면

 

① 무의식의 해석
● 프로이드의 학문적 업적 : 무의식에 대한 인식
●  프로이드는 초기에 무의식을 ‘억압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보았음
· 의식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추동적인 자극과 흥분, 상상, 혹은 적개심, 여러 가지 수치스러운 체험 같은 것이 무의식으로 추방되었다고 본 것임
● 프로이드
·  920년대부터 구조이론을 더하여 확장됐음
· 원초아 뿐만 아니라 자아와 초자아도 무의식적인 면을 가졌다는 것임

· 자아의 기능인 저항이나 방어, 초자아에서 나온 죄의식이나 비현실적인 이상 등도 무의식적이라는 것을 밝혔음
· 개인이 경험하거나 학습하지 않는 내용으로서 융의 집단 무의식과 유사한 종족발생적 무의식도 있다고 인정하였음
● 프로이드는 무의식을 한 체계로 정의하려 했음
· 무의식의 특성은 에너지의 흐름이 자유롭고 시간과 공간 관념이 없으며, 논리 차원이 아니라 모순이 공존하고,
쾌, 불쾌의 원칙에 의해 조절됨
· 무의식은 심리적인 존재방식이고 동기과정이며, 인지활동의 잠재적 측면임
● 사회복지사가 해석 실천기술을 사용할 때 유의할 규칙
· 클라이언트가 저항 혹은 방어적 태도를 취할 때, 원인을 해석하기 전에 클라이언트의 저항 혹은 방어적 행동 자체를 지적,
설명해 주어야 함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표현한 감정의 대상적인 이면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함

 

② 꿈의 분석
● 프로이드는 ‘꿈의 해석(1990)’에서 꿈을 “무의식에로의 왕도”라고 하였음
· 그러나 꿈은 상징적인 언어로 표현되며 이것은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움
·  꿈은 사실 그 당시 무의식을 연구하는 왕도였음
● 프로이드에 의하면
· 꿈은 전날 생활의 잔재, 신체적 자극, 잠재적 사고에 의해 생김
· 잠재된 생각과 소망은 자아의 무의식적인 방어와 초자아의 무의식적인 검열을 통해 응축되고 전위되며 상징화됨(일차적 꿈 작업) 

→ 대부분의 꿈은 어린 시절의 성적 충동과 관계가 있음
→ 신경증적인 증상이 그렇듯이 꿈도 잠재적 소망과 무의식적 방어 간의 타협의소산으로 봄
● 정신역동모델의 꿈의 해석은 상징사전을 활용하는 해몽과는 다름
● 꿈의 내용이 갖는 상징을 탐구하여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 꿈은 2가지 수준의 내용을 갖고 있음

 

㉮ 잠재 몽(Latent dream)

· 너무나 고통스럽고 위협적인 것으로서 가장되어 있음
· 숨겨져 있고 상징적이며, 무의식적인 동기, 소망, 두려움으로 구성되어 있음

 

㉯ 현재 몽 (Manifest dream)

· 바로 꿈속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꿈의 내용
·  잠재내용을 이루는 무의식적인 성적, 공격적 충동은 너무 고통스럽고 위협적이기 때문에 보다 수용하기가 쉬운 내용으로 변형함
· 현재 내용에서의 상징을 탐색하여 무의식적으로 억압했던 자료를 풀어내고 위장된 의미를 밝혀내는 것임
●  꿈은 내담자의 무의식속에 억압이나 미해결된 문제에 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해 줌
· 새로운 통찰력을 통해 사회복지사는 꿈과 해결되지 못한 갈등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 해석하게 됨
· 사회복지사는 꿈의 잠재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꿈의 표명된 내용의 어떤 면에 관련되어 자유연상을 하도록 요구하기도 함
● 프로이드의 이론에서는 잠재 몽을 실제에서는 현실 몽을 중시하며, 꿈을 단순히 억압된 자료를 드러내는 것으로만 보지 않고 내담자의 현재 기능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볼 수 있음 → 해석을 하지 않더라도 꿈을 꾸는 그 자체가 건강함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