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신역동모델 (5) 자아 심리학 & 자기 심리학 & 대상 관계이론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by 뜌뜌뜌뜌뜌 2023. 11. 6. 23:13

본문

728x90
반응형

(2) 자아심리학(Ego psychology) ­ 

- 프로이드는 환자의 저항이 의식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많은 부분이 무의식적이라는 것을 알게됨
● 원초아 뿐만 아니라 자아와 초자아도 많은 부분이 무의식적이라는 것을 공식화하였음
●   자아는 현실과 타협하고 적응하는 의식기능을 하고 방어기제를 활용함
­- 현대의 자아심리학은 1939년 하이쯔 하르트만이 ‘자아심리학과 적응문제(1939)’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음
­- 그는 생득적 · 생물학적 자아-자율성을 주장함으로써 정신분석학 내에서 심리성적 발달이론을 능가하는 새로운 발달이론의 발전에 박차를 가하였음
­- 크리스, 뢰벤스타인, 그린에이커, 블랭크와 블랭크 등을 중심으로 하는 자아심리학자들의 업적
① 자아발달을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발달장애에 대한 더욱 정확한 진단과 개입을 가능하게 한 것임
● 예) 오이디푸스 단계로부터 퇴행인지 혹은 초기장애인지 하는 문제가 좀 더 확실히 부각되고, 이에 걸맞은 치료기법을 강구하게 되었음
② 심리성적 발달과 각각의 자아기능이 꼭 같은 발달단계 수준으로 발달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확실해졌음
●  경계선적 성격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 중에는 탁월한 자아기능을 발휘하여 중요한 사회계층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이 많음
③ 자아심리학을 지향하는 정신분석가는 클라이언트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데 특별한 관심을 하는 것을 선호함
④ 심한 초기 발달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에게는 그가 도달한 최고의 자아 발달단계를 강화하는 기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어기제까지도 보강하여야 한다는 것임

 

(3)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 ­ 

- 하르트만은 ‘정신분석학과 발달심리학(1950)’이라는 글에서 처음으로 “자아(Ego)”와 “자기(Self)”를 구분하였음
● 자아는 초자아, 원초아와 함께 자기의 부분구조 혹은 심리학적 부분체계임
● 자아가 아니라 ‘자기’가 리비도에 의해 점유되고, 자기점유는 대상점유와 마주해 있음
● 하르트만은 3가지 체계, 즉 자아, 초자아, 원초아 모두에게 나르시시즘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음
­- 프로이드는 나르시시즘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고, 원초적 또는 일차적인 나르시시즘과 이차적인 나르시시즘으로 구분했음
● 일차적인 나르시시즘은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임
● 갓난아이가 자기 자신과 대상을 구분할 수 없는 미분화 된 상태를 말함
­- 프로이드는 정신질환자가 이 발달수준으로 퇴행한다고 보았음
● 정신병을 나르시스적 신경증이라고 일컬었음
● 리비도가 사랑하는 대상에 점유되었다가 자아에게로 되돌아 온 것이라고 설명하였음
● 리비도가 대상에 점유되었다가 자기 자신에게로 되돌아 온 것을 이차적인 나르시시즘이라고 하였음

 

(4) 대상관계이론
­- 정신역동모델의 개념으로의 대상관계는 실제적 관계와는 구별됨
● 각 개인은 자신의 성격 특성을 가지고 태어나며, 그의 환경은 주요 관계대상이라고 할 수 있음
● 이 대상과의 관계를 통해 심리 내적인 구조가 형성되기까지는 내재화와 외재화의 과정이 일어남
­- 자신의 특성과 체험을 외재화하는 외부의 정보와 자극을 내재화하면서 주관적인 체험의 현실적, 상상적 내용을 심리 내적인 표상으로 변화시킴
●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이 형성되고 이 둘 간에는 어떤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임
· 이 표상은 심리 내적인 조절작용을 하게 되고, 발달과정에서 수정되거나 부분적으로 억압되어 무의식적인 소망으로 머물게 됨 → 전이현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이 됨
­- 대상관계이론은 현재 정신분석학에서 필수적인 연구 분야임
· 사람이(혹은 주체가) 자기 소망에 따라서만 상대방을 일방적으로 지각하고 판단, 이해하면서 한 객체를 구성한다는 이론적 왜곡을 극복하게 함
· 모성적 특성, 즉 받쳐주고 안아주며, 쓰다듬어주고 얼러주며, 진정시켜주는 등의 개입으로 구조이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및 가부장적 이론체계를 보완하기 때문임
­- 현재 정신분석이론과 치료기법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대상관계이론은 추동의 역할, 환경의 영향, 내적 대상의 환상적,
상상적 특성 중 어디에 더 연구의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각기 차이를 보이고 있음
­- 대상관계이론을 잘못 이해하면? 개인과 환경, 주체와 대상 간의 현실적 관계에만 몰두하고, 주체의 관계 환상이나 상상이 현실파악과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멀리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질 수 있음
●  예)

· 초기 장애 클라이언트를 치료할 때 치료자가 자신의 어머니가 될 수 없음
· 치료자는 자기에게 어떤 역할이 부과되고 있는지를 의식화하고 이를 감정이입적으로 해석하여야 함
· 어떤 역할에든 맹목적으로, 완전히 휘말려들게 되면, 치료는 막다른 골목에 이르고 침체상태에 들어가게 됨
· 유아적 소망을 점차적으로 포기하고, 감정이입적인 치료자 곁에서 현실에 맞는 발달과 성숙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임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