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권의 역사 (6) 산업혁명 시대 - 참정권과 노동권을 위한 투쟁 ( 여성의 참정권 운동과 노동의 기본권 보장)

인권의 이해

by 뜌뜌뜌뜌뜌 2023. 7. 23. 20:04

본문

728x90
반응형

② 여성의 참정권 운동
㉮ 미국의 여성참정권
 19세기에 여성들은 경제활동에 분명 기여했지만, 여전히 수동적 시민으로밖에 인정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산업화로 인해 교육받은 미혼여성들이 점점 더 늘어나면서 노동인구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노동 환경에서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정치적 투쟁을 조직화했는데, 19세기 말 유럽에서 여성참정권 운동조직들이 늘어나면서 여성운동이 활발
하게 전개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최초로 여성에게 선거권이 인정된 것은 1893년 뉴질랜드였습니다. 이어서 오스트레일리아 (1902), 핀란드(1906), 노르웨이(1913) 등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이들은 참정권운동을 전개한 지 불과 십 년 만에 전국적 선거에서 여성에게 선거권을 허용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영국과 미국에서도 여성의 선거권운동이 치열하게 벌어졌는데, 이들 나라에서의 여성운동은 주로 중산계급과 상류계급의 여성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노예제 폐지운동과 더불어 여성해방요구가 일어나면서 여성 참정권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1848년 뉴욕에서 세계 최초의 여성권리대회가 열렸습니다. 이후 1869년 ‘전국여성참정권 협회’와 ‘미국여성참정권 협회’가 결성되었고, 이들은 1890년 ‘전미여성참정권협회’로 통일되어 여성 참정권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1919년 여성참정권을 보장하는 내용의 헌법수정안이 상원을 통과하면서 미국에서는 1920년에 여성의 선거권이 인정되었습니다.

 

㉯ 영국의 여성참정권
 영국에서는 1865년 런던에서 ‘여성참정권위원회’가 결성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여성 참정권 운동이 벌어졌습니다. 그해 하원에서 여성 참정권을 요구하는 헌법 수정안이 부결된 것을 계기로 각지에서 여성의 참정권을 요구하는 위원회가 결성되었습니다.
 지식인과 중산계급 여성들로 구성된 ‘여성참정권협회전국동맹’은 1897년 결성되어 여성 참정권 운동을 벌였고, 1903년에는 팽크허스트(Emmeline Pankhurst, 1858∼1928)를 중심으로 결성된 ‘여성사회정치동맹’은 1918년 국민대표법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여성사회정치동맹’에 가입하여 활동하던 여성활동가 에밀리 데이비슨(Emily Wilding Davison : 1872-1913)은 1913년 6월 4일 여성참정권을 요구하며 경마대회에서 달리는 말 앞에 뛰어들어 나흘 만에 숨을 거두기도 했습니다. 그녀의 죽음으로 여성 참정권 운동은 더욱 거세게 불타올랐고, 마침내 1928년 영국 정부는 21세 이상의 모든 여성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했습니다.

 

③ 노동의 기본권 보장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어 정착을 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에 비해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실업자와 빈민으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다행히 일자리를 구한 사람들도 사정은 좋지 않았고, 도시의 노동자들은 비참한 삶을 살았습니다. 19세기 중엽 프랑스 임금노동자의 평균 노동시간은 하루 15시간 정도였고, 그렇게 일해서 받은 임금은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기에도 한참 모자라는 수준이었습니다. 작업 환경도 매우 열악하여 일을 하다가 다치거나 죽어도 제대로 보상받을 수 없었습니다. 어린
아이들도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것은 마찬가지였는데, 하루 16∼17시간 정도 일을 했기 때문에잘 먹지 못해 영양실조에 시달렸습니다.
 이런 열악한 노동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노동조합이었습니다. 19세기 서유럽에서는 노동조합을 조직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노동자들의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그 결과 1871년 영국에서 노동조합법이 만들어졌고, 1900년경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 노동조합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미국에서도 1936년에서 1937년 사이에 대규모 파업을 거쳐
노동조합 결성권이 인정되었습니다.
 노동시간도 점차 단축되었습니다. 1847년에 영국에서는 청소년과 여성의 하루 노동시간이 10시간으로 줄어들었고, 얼마 후에 남성의 노동시간도 10시간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후 노동자들의 지속적으로 1일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기 시작했고, 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에는 8시간 노동제가 여러 국가에서 확립되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