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농촌공동체 (2) 민속사회 ② 농촌공동체의 개념과 민속사회

사회학개론

by 뜌뜌뜌뜌뜌 2023. 9. 10. 19:14

본문

728x90
반응형

(4) 농촌공동체의 개념
 인류는 역사 이래로 공동생활을 시작하여 왔다. 오늘날에서와 같이 일정지역에 정착하여 공동체생활을 한 것은 신석기 시대의 농업혁명과 더불어서입니다. 오늘날의 농촌공동체들은 그 형성의 역사가 오랜 만큼 매우 다양하난, 다음의 두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습니다.

 

① 중심지와 산재하여 있는 농가들로 구성된 읍-농촌형입니다. 여기서 읍이라 함은 한국의 행정구역단위로서의 읍과 같은 곳이 아니라 면소재지처럼 소규모의 중심지를 의미합니다.

 

② 이러한 중심지가 없는 촌락공동체이다.

 읍-농촌형의 공동체는 미국과 서구에서와 같이 농가당 농지면적이 큰 곳에서 발전하고, 촌락공동체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와 같이 농가당 농지면적이 적은 곳에서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촌락공동체는 더 세분하여 가옥이 밀집해 있는 집락형, 하천변이나 도로변을 따라 길게 펼쳐 있는 직선형입니다. 그리고 하나 또는 소수의 대농지 소유주와 여기서 일하는 농가들로 구성된 장원형 등으로 분류합니다. 여기에 부가해서 대체로 집락형을 취하고 있는 광산촌이나 어촌, 상인촌 등도 농촌공동체의 범주로 포함시켜 연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농촌공동체들은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들 모두는 몇 가지의 공통의 전통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그 전통적 성격들을 대표해 주고 있는 ‘민속사회’ 라는 개념을 간단히 소개하고 이 개념에 따라 농촌공동체의 일반적 성격들을 조금 더 자세히 고찰한 다음 그 변화를 살펴보기로 합니다. 

 

(5) 민속사회
전통적 농촌공동체들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두드러진 성격을 추출하여 구성해 놓은 이념형적 개념입니다. 이것은 퇴니스가 제시한 사회의 두 가지 이념형적 분류, 즉 공동사회(Gemeinschaft)와 이익사회(Gesellschaft)에서 전자의 특성과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레드필드는 민속사회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습니다.

 

 민속사회는 소규모이고 고립되어 있으며 개화되어 있지 않고 동질적이며 강한 집단 유대감을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생활양식은 우리가 ‘문화’ 라고 일컫는 통합된 체계 내에서 관례화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행위는 전통적이고 자발적이며, 무비판적이고 인격적임. 여기서는 법규나 지적 목적을 위한 실험과 숙고의 습관은 없습니다. 친족의 관계와 제도는 경험의 범주에 속하고 가족집단이 행위의 단위입니다. 신성적인 것이 세속적인 것을 지배하고 경제는 시장이 아니라 지위의 문제로 되어 있습니다. 민속사회는 많은 전통적 농촌공동체들에서 관찰될 수 있는 두드러진 성격들을 뽑아 이념적 구성해 놓은 가상적 사회입니다. 실제로 존재하였거나 현존하는 어떤 농촌공동체는 위의 성격을 어느 정도 모두 갖고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그렇지 못합니다. 어떤 특성 중 고립성은 강하나, 동질성은 약할 수 있습니다. 민속사회의 개념은 가상적이기는 하나 농촌공동체의 체험적 연구, 특히 비교연구에 좋은 분석적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이 개념은 도시사회의 성격, 즉, 도시성이라는 개념과 대조를 이루어 농촌과 도시공동체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한다. 농촌공동체의 전통적 특성을 민속사회의 개념에 따라 고찰해 보려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