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농촌공동체 (1) 민속사회 ① 지역공동체의 특성과 양분법적 접근방법

사회학개론

by 뜌뜌뜌뜌뜌 2023. 9. 9. 21:33

본문

728x90
반응형

(1) 개요
 생태계의 한 종으로 인간은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지역적으로 주어진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을 변형시킬 수 있는 능력, 즉 기술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분업과 규범을 바탕으로 공동체생활을 영위입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다른 동물과 크게 다릅니다. 사회학에서 공동체(community) 라는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그것은 학술단체나 군대, 종교집단, 인종집단 등과 같은 구체적인 사회집단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어떤 연대의식이나 일체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총체를 지칭 하는 말로도 사용됩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로 삼고 있는 공동체는 넓은 의미의 공동체가 아니라 촌락이나 읍, 도시, 거대도시 등과 같이 사람들의 일상생활이 영위되는 지역집단, 즉 지역공동체입니다. 지역공동체의 개념은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일상생활이 영위되는 지역집단이라고, 간단히 규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간단한 규정만으로는 그 성격을 파악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호튼과 
헌트는 몇몇 학자들의 규정을 종합하여 지역공동체를 몇 가지 특성으로 정의하였습니다.

 

(2) 지역공동체의 특성
 지역공동체란 전문화되고 상호의존적인 기능들로 이루어진 분업체계와, 여러 가지 활동들을 조직하는 공통의 사회문화 체계를 가집니다. 일체감 및 소속감을 가지고 조직화되어 함께 행동할 수 있는 일정지역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집단 이라고 규정하였습니다. 이 정의에서 핵심이 되고 있는 요소는 지리적 영역의 공유.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유대감 등의 
세 가지로 간추릴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지역공동체는 농촌과 도시로 대별하여 연구해 왔는데, 그러나 
그 구분은 불완전 합니다. 그 이유는 첫째, 이러한 구분에 엄격히 따르자면 어촌이나 광산촌, 상인촌 등이 제외될 수 있고, 둘째, 도시와 농촌을 구분하는 데에도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입니다. 위의 두 가지 문제 중에서 첫째 것은 그리 심각한 문제가 아닙니다. 어촌 등과 같은 촌락은 다소 의미상의 문제가 있기는 하나, 농촌 공동체의 범주에 넣어 연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농촌과 도시는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서 양분될 수 없기 때문에 그 구분은 애매할 수밖에 없
습니다.

 

(3) 양분법적 접근방법
 대부분의 사회학자들은 도시와 농촌을 서로 대립시켜 연구하여 왔습니다. 그 대립적 특성들은 퇴니스나 뒤르켐과 같은 고전사회학자들이 제안한 사회에 대한 양분법적 이념형(dichotonomous idea type)을 적용하여 파악되기도 합니다. 또는 레드필드(Robert Redfield)가 제안한 민속-도시의 연속성(folk-urban continuum) 이라는 관점에서도 연구되어 왔습니다. 레드필드의 접근방법도 민속사회와 도시사회를 양극적 이념형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분법적 접근방법과 같습니다. 그러나 레드필드의 접근방법은 실제로 존재하는 공동체들을 양극적인 두 부류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연속선상의 차이로 본다는 점에서 양분법적 이념형에 의한 접근방법과는 다릅니다. 이와 같은 연속성의 개념에 따라 어떤 공동체가 민속적 또는 도시적 성격을 다른 공동체 보다 더 강하게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민속적 성격이 강하였던 공동체가 도시적 성격으로 바뀌어가는 모습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동체의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농
촌과 도시는 각각 어떤 특성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에 그 초점이 모아질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