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종교의 개념과 유형 (1) 종교의 개념

사회학개론

by 뜌뜌뜌뜌뜌 2023. 9. 5. 22:00

본문

728x90
반응형

종교의 세속화
 산업혁명과 더불어 현대사회의 기술문명이 급속히 발전하는 과정에서 한때 적잖은 사람들이 종교의 급속한 쇠퇴 혹은 몰락을 예고하였습니다. 종교를 기술력이 없기 때문에 자연의 힘에 굴복할 수 밖에 없는 나약하고 무기력한 인간들이 정
신적인 안식처를 얻기 위해 의지하는 어떤 것쯤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산업생산기술이 발전하여 자연력을 통제할 수 있게 되면 종교의 힘은 저절로 수그러들 것이라고 예측하였는데, 종교적 세계관이 지배적일 수밖에 없었던 예전 사회와 달리 현대사회에서는 과학과 기술이 세상에 대한 궁극적 해답을 제공해 줄 것이라고 이들은 확신하였습니다.

 이러한 견해를 흔히 ‘종교의 세속화(secularization of religion)’ 라고 불립니다. 종교의 세속화란 종교적 신념이나 실천, 제도 등이 사회적 중요성을 상실해 가는 과정으로서, 그 결과 일상생활에서 종교가 쇠락함과 동시에 관료적이며 파편적 공식적 조직사회가 출현할 것으로 예측하는 것입니다. 종교의 쇠락과 관련한 이러한 예측은 일정 부분 사실로 보이지만 상당 부분 빗나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온갖 산업기술로 무장된 현대인들에게 종교의 영향력은 여전히 지배적일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은 삭막해진 정신세계의 위안을 찾아 종교생활에 매진하는 성향을 나타냅니다. 여러 종교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종교의 절대적 숫자가 현대사회에 들어 전례 없이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산업발전을 이룩한 나라일수록 신자의 비율은 오히려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세속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여전히 건재할 뿐만 아니라 인류사회가 존재하는 한 종교는 그 생명력을 유지할 것임을 웅변적으로 보여줍니다. 종교는 인류사회의 보편적 사회제도 가운데 하나임에 틀림없습니다. 따라서 사회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종교의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종교는 다른 사회현상들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지니면서 끊임없는 상호작용과 변화를 추동해 옴. 종교는 본시 안정과 갈등의 원천입니다. 한편으로는 사회적 결속과 평화에 기여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극심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예) 종교와 국가 사이의 대립. 여러 종교집단들 간의 대립. 창조론과 진화론을 둘러싼 해묵은 논쟁 등.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세기적 사회변화의 와중에 종교가 놓여 있었던 예는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흔합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도 결코 예외가 아닌데, 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로 이름을 널리 알린 고전 사회학자 뒤르켐(Durkheim, 1995)은 종교를 인간의 행위를 유도하고 생활의 의미를 부여하며 일정한 도덕공동체에로 통합시키는 성스러운 혹은 초자연적인 신념 및 행위의 체계라고 규정하였습니다. 종교에 대한 이와 같은 개념 정의에는 종교가 세 가지 핵심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사실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어떤 성스러운 대상(sacred thing)과 그 대상에 접근하기 위한 일정한 의례(rituals), 그 의례를 수행하는 공동체(community)가 그것입니다. 각 요소를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성스러움 혹은 신성성(the sacred)은 종교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 

  어떤 초월적이고 초자연적인 세계를 가리킵니다. 초월적이고 초자연적인 세계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감각으로는 결코 경험할 수 없는 영적인 영역(spiritual field)입니다.

세속성(profaneness)과 상반되는 의미를 지닙니다. 시대와 사회를 막론하고 아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여러 가지 대상들에 신성성을 부여합니다.

 

예) 나무나 동물, 바람, 십자가, 제단, 신 등.

 

이는 통제할 수 없는 미지의 자연현상에 대해 심리적 위안을 얻고자 하는 인간 본연의 동기와 매우 관련이 깊습니다. 어떤 대상에 일단 신성성이 부여되고 나면 사람들은 그것에 경외감을 갖게 되며 그것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합니다.

 

② 어떤 대상에 부여된 신성성은 다만 심리적인 상태일 뿐 아직 행위적 차원으로까지 발현된 것은 아님
 태도는 일반적으로 행동의 발현을 전제로 할 뿐만 아니라 행동으로 발현되지 않는 태도는 그 사회적 중요성을 상당 부분 상실할 수밖에 없습니다. 종교에서 신성성은 의례를 통해 행동으로 발현되는데, 의례란 특정한 가치나 신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반복적이고 규정적인 행동양식으로서, 종교에서는 각종 문화적 상징과 제도화된 절차를 사용하여 의례를 행합니다. 종교적 의례행위는 매우 다양합니다.

 

예) 기도와 노래, 춤, 행진, 식사 등. 

 

종교적 의례는 일상적 행위와 달리 엄정성과 공식성이 그 생명인데, 미리 매우 엄격하게 규정된 일련의 공식화된 절차를 준수할 것이 요구됩니다.

 

③ 성스러운 대상을 설정하고 그 대상에 대해 일정한 의례를 행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다만 몇몇 사람들에 의해 부분적이고 은밀하게 수행된다면 종교라고 말하기 어려움.

 종교는 성스러운 대상과 관련된 태도(믿음)와 행위(의례)가 사회공동체의 차원에서 수많은 성원들에 의해 공유되어 집단적이고 공개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는 엄격히 말해, 사회적 행위가 아니라는 것이 사회학의 기본명제 가운데 하나. 종교적 행위도 본질적으로 다수의 성원들에 의해 공유된 집단적 행위를 전제로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