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

여러가지 지식

by 뜌뜌뜌뜌뜌 2023. 7. 19. 23:24

본문

728x90
반응형

출처 : 픽사베이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有閑階級論)》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말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베블런은 이 책에서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습니다.

베블런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행태로,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 자동차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꼭 필요해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지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과시욕이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고가의 물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의 경우, 값이 오르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고, 값이 떨어지면 누구나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구매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무조건 남의 소비 성향을  쫓는다는 뜻에서 소비편승효과라고도 합니다.

이런 점에서 다수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을 꺼리는 소비현상으로, 남들이 구입하기 어려운 값비싼 상품을 보면 오히려 사고 싶어하는 속물근성에서 유래한 속물효과와 비슷합니다. 한국에서는 대학생들 사이에 명품 소비 열풍이 일면서 일명 명품족으로 불리는 럭셔리제너레이션도 등장하였는데, 2000년대 이후에는 극소수의 상류층 고객만을 상대로 벌이는 마케팅전략인 VVIP마케팅도 등장하였습니다.

 

노노스 족 : 명품 브랜드의 디자인 제품보다는 차별화한 디자인의 제품을 즐기는 소비자층

노노스는 '노 로고 노 디자인(No Logo No Design)'의 줄임말입니다. 2003년 프랑스의 패션 정보회사 넬리로디가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세계적으로 명품 선호 현상이 유행하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명품이라면 아무리 값이 비싸더라도 구매하는 럭셔리제너레이션(명품족·브랜드족)과는 상반됩니다.

노노스는 명품 대중화 현상에 반기를 들고 나타난 새로운 경향으로, 노노스를 즐기는 사람들이 노노스족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브랜드의 이름보다는 차별화한 디자인의 제품을 즐긴다는 점인데, 이들은 명품 로고타이프에 현혹되기보다는 해당 제품만이 가진 특별한 느낌, 실용성과 희소성 등을 기준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선호합니다.

한국에서도 2004년 말부터 노노스족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는데, 노노스족의 증가에 따라 이들을 겨냥한 노노스족 마케팅까지 생겨났습니다. 브랜드나 로고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제품에서부터 브랜드를 없앤 제품까지 백화점 매장에 등장하였습니다.

 

매스티지 신드롬


얼마전 삼성경제연구소는 국내의 명품 대중화 현상과 관련한 보고서에서 '최상위 중산층'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해외 문화 및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수용도가 높아 트렌드를 주도하고 '매스티지 브랜드'의 주요고객이 되고 있는 집단"이라고 정의했습니다. '매스티지 masstige'란 대중용품 Mass Product 과 명품 Prestige Product 을 조합한 용어로서, '비교적 가격이 낮은 명품'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명품 대중화 현상을 상징하는 신조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상품의 '교환가치'를 인간소외의 원천으로 보고 고유한 '사용가치의 복원을 주장했던 칼 마르크스와 달리, 현대소비사회의 주요한 운동방식으로 '변별적 소비'를 강조하며 '상품의 기호화'라는 개념을 제시한 보드리야르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단지 '서구'의 사물이라는 이유 때문에 '미개인이 손목시계나 만년필에 달려갈 때, 우리는 거기서 일종의 희극적 불합리성을 느낀다. 미개인은 그 사물에 의미를 두지 않으면서도 게걸스럽게 그것을 자기 것으로 삼는다. 이것은 유아적인 관계이며, 힘에 대한 환상에서 나온 것이다. 사물은 더 이상 기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힘을 가진다. 그렇다면 그것은 기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베블런효과 [veblen effect]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노노스족 [nonos-]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북하우스 - 지식 e season 2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