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종교의 기능과 역할 (1) 기능론적 관점

사회학개론

by 뜌뜌뜌뜌뜌 2023. 9. 7. 22:31

본문

728x90
반응형

(1) 개요
 사회학에서 종교를 논의할 때 가장 관심을 두는 것은 다름 아닌 종교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입니다. 본시 종교와 사회 사이에는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하였습니다. 종교가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반대로 사회가 종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사회학자들의 주된 초점은 종교 그 자체보다는 사회에 있는데, 따라서 종교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탐구하였습니다. 사회학의 주요 이론들은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조명하였습니다. 기능론은 종교의 사회통합적 기능을, 갈등론은 종교의 갈등은폐적 기능을, 그리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은 종교의 싱징부여적 기능을 주로 강조하였습니다.

 

(2) 기능론적 관점
 기능론의 효시를 마련한 뒤르켐(Durkheim)은 ‘종교생활의 원초적 행태’(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us Life, 1912) 라는 저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종교 사회학 분야의 명저로서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면밀히 분석한 고전적 연구입니다. 그는 종교를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필수불가결한 사회적 구성요소로 보았습니다. 

 

예) 호주 원주민의 종교생활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여러 원주민 부족들은 각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토템(totem)을 지님. 이 토템은 자신들이 신성시하는 것으로 부족의 정체성을 상징. 부족의 전체 성원들은 이 토템을 둘러싸고 춤을 추는 의례를 수시로 함으로써 개인의 사사로운 이해 추구가 억제됨. 또한 집단의 결속력이 고양되는 효과가 자연스레 나타남.

 

이는 사회적 유대감을 갈구하는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볼 때 종교는 사회에 핵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집단적으로 표현된 것이라는 점에서 뒤르켐은 종교를 집합적 표상(collective representations) 이라고 불렀습니다. 뒤르켐을 위시하여 기능론자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종교의 사회적 기능은 크게 보아 다음의 세 가지로 압축됩니다. 

 

① 생활의 의미와 목적 제공

 사람들은 인생을 살면서 수많은 경험을 하게 됨. 경험들 가운데는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 있습니다. 특히 부정적인 인생경험은 개인이나 사회에 상당한 정도의 상실감을 안겨 주게 되었습니다.

 

 예) 질병이나 기근, 자연재해, 가난, 가족의 죽음, 사회불평등, 외세의 침략 등. 

 

 그러한 어려움이 닥쳤을 때 사람들은 왜 자신이 고통 받아야만 하는지, 인생의 의미가 무엇이며, 살만한 가치가 과연 있는 것인지 등을 반추하게 되었습니다. 종교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답을 제시하곤 하였습니다. 대답의 내용이 서로 다른 종교마다 약간씩 다른 것은 물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종교들에 공통적인 내용이 존재합니다. 그것은 인생이 드넓은 우주의 크나큰 질서체계의 일부분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종교적 관념 혹은 세계관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에게 주어진 현 상황을 수긍하고 인내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생의 의미와 목적을 견고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였고, 수많은 상실과 좌절을 경험한 사람은 물론이고 상실과 좌절을 겪지 않고 일평생 승승장구한 사람의 경우에도 필경 어느 순간에는 인생의 의미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갖게 마련입니다. 이 경우에도 해답은 종교가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② 소속감과 사회적 결속력 제공
종교의 교시와 의례는 공유된 상징을 제시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고취시키고, 사회적 유대를 증진시켰습니다.

 

 예) 기독교의 성찬식은 원래 특정한 역사적 사건 또는 기일을 기리기 위한 종교적 의례. 수 많은 신자들이 성찬을 함께 함으로써 신자들 사이에 집단적 정체성과 유대감이 형성됨. 

 

 종교사회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이처럼 정체성과 유대감을 고취시키기 위한 집단적 친교를 어떠한 형태로든 행하지 않는 종교는 거의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종교의 이러한 기능은 사회경제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사람들에게도 예외 없이 나타납니다.

 

예) 하층민이나 이주민 등. 

 

 따라서 이들은 사회적 편견과 차별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참여를 통해 자신들의 집단적 정체성과 결속력을 재확인한다고 하였습니다.

 

③ 사회통제 및 질서유지
종교는 대체로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을 통해 사회통제에 기여 하였습니다. 

 

㉮ 종교의 의례와 가르침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우주의 근원적 질서체계의 일부분이라고 인식하게 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 서로 협동하고 도움을 주고받게 하는 등의 적극적 동조행위(conforming behaviors)를 유발함
· 맥가이어(McGuire, 1997)에 따르면, 이러한 동조행위 유발은 종교가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것입니다.

 

㉯ 종교는 사회의 기존 규범과 법규에 초자연적인 정당성을 부여
· 사회통제에 기여함. 시대와 사회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회계층과 종교 사이에는 밀접한 연계가 존재. 지배계층은 종교로부터 사회정치적 적법성을 부여 받음. 종교는 그 대가로 각종 지원을 받아 온 것은 사실임. 과거사를 돌아보았을 때, 절대군주가 자신의 지배권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종교의 엄숙한 힘을 빌렸던 경우는 이루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흔함

 

비록 현대사회는 대부분 제정일치(祭政一致)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국가와 종교 간의 엄격한 분리를 강조. 하지만 실제로도 반드시 그러한 것이 아닙니다.

 

예) 국가의 각종 상징물에 종교적 인물이 그려져 있는 경우(국기나 국가, 화폐 등). 
입법이나 행정, 사법부 등 각종 관공서에서 종교서적을 놓고 선서하게 하는 경우. 종교적 인물을 기념하는 날을 법정 공휴일로 지정하는 경우 등을 통해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음. 

 

한 사회에서 사람들이 준수하여야 할 규범과 법규는 정해진 것 이상으로 종교 서적에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을 뿐 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법 보다는 종교적 교리가 더 강력한 통제력을 발휘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