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회운동의 유형과 이론 (2) 사회운동의 특성

사회학개론

by 뜌뜌뜌뜌뜌 2023. 9. 17. 22:04

본문

728x90
반응형

(1) 사회운동의 특성

① 이념(ideology)
 모든 사회운동은 특정한 사회적 행위나 프로그램을 정당화시켜주는 믿음 체계인 이념(ideology)을 가집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믿음 체계는 사회운동이 달성하길 바라는 상황과 또 실패했을 때 생겨 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규정하였습니다. 

 

(2) 조직(organization)
 사회운동은 어떤 집단행동의 유형보다 조직화되어 있습니다. 대개의 사회운동은 소수의 핵심적인 지도자와 다수의 헌신적인 성원들로 구성됩니다. 이 구성을 벗어나면 이러한 사회운동의 목표에 동정적이면서 또한 때로는 재정적으로나 정
신적으로 도움을 주는 많은 지지자들이 존재합니다. 성공적인 사회운동은 매우 조직화되어 나중에 공식적인 조직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구소련의 공산당은 혁명적인 사회운동으로 출발하였으나 러시아의 자르(czar)체제를 무너뜨린 후 나중에 공식적인 정부조직이 됨. 

 

 큰 사회운동은 종종 여러 조직을 거느리거나 여러 조직으로 구성되는데, 이럴 경우 조직의 문제가 복잡해집니다.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각 조직의 활동을 조정해야 하고 각 조직의 행위를 유용하게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3) 전술(tactics)
 모든 사회운동은 특정한 목표의 달성을 추구하고 있는 특정한 활동인 전술(tactics)에 관여합니다. 전술은 종종 여러 다양한 목적을 지니기도 합니다. 사회운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전술은 사회운동에 동정적인 사람들뿐만 아니라 직접적
으로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의 지지를 동원하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사회운동의 활동과 노력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의 태도를 바꾸는 데 있어서도 중요합니다.

 

예) 환경운동의 전술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쓰레기를 줄이고 종이, 병이나 캔 등을 재활용하며, 대중교통과 자전거를 이용하고 환경보호에 호의적인 법을 제정하는 것 등등

 

 전술은 운동의 종류에 따라 변하는데, 유토피아적 운동은 전술로서 폭력을 좀처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혁명적 운동은 폭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확립되고 기존의 정치구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그런 사회운동인 소비자 운동은 자신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규모의 집단적인 시위 대신에 정치구조에 로비하는 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정치구조에 대한 접근 가능성이 별로 없는 사회운동은 집단적 시위나 보다 극단적인 활동 및 방법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목적을 세상에 널리 알리려고 합니다. 세상을 바꾸는 모든 수단과 방법이 막힐수록 폭력을 전술로 사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블루머(1969)의 이론
 이후 블루머(1969)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근거해서 르봉의 사회심리적 관점을 확장시켰습니다. 그는 군중에 의해 만들어진 감정적 상태가 동물의 떼들이 서로 자극하고 선동하면서 술렁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리의 사람들이 서로 정처 없이 움직이는(milling about) 데서 나온 결과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군중 속의 개인은 별다른 생각 없이 무의식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따라 하면서 집단적 감정을 수용하게 됩니다. 이 순환적 반응을 통하여 집단적 감정은 그 수준이 높아지고 특정한 공통의 목표를 향해 퍼져 나갑니다. 이러한 군중 행동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정치지도자는 때때로 군중을 의도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자극하고 선동합니다. 이들이 군중 심리에 휩싸여 정치지도자가 의도하는 목표의 행동을 열광적으로 표출하도록 유도합니다.

 

▶ 공헌 및 비판
 비록 모방 행동이 순간적이나마 큰 동력을 만들어 내지만, 이 한 가지 요소만으로는 다양한 집합행동을 부분적으로 밖에 설명하지 못합니다. 전염이론은 감정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자동적으로 전염된다는 것을 가장함으로써 비판의 대상이 됩니다. 일부 사회학자들은 군중 행동이 특별하지 않고 일상 생활에서 다른 사람을 의식해서 일어나는 행동과 별 차이가 없다고 주장합니다. 더욱이 집단행동의 역동적인 발생과 확산과정에 대한 전염이론의 설명은 군중행동의 약화와 소멸과정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