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기와 교우관계 - (2) 친구 관계와 부모와의 관계

카테고리 없음

by 뜌뜌뜌뜌뜌 2023. 5. 29. 22:04

본문

728x90
반응형

 친구관계

1. 동성친구와의 우정
이 시기에는 또래관계를 보다 특별하게 인식하게 되면서 자신이 신뢰할 수 있고 자신의 갈등이나 비밀을 개방하여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친구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시춘기 변화와 더불어 생기는 다양한 감정은 아동에게 많은 심리적 부담을 줄 수있지만, 또래와의 친밀한 상호 의존적 관계 속에서 부정적인 감정에 직면하면 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Gottman과 Mettetal(1987)은 청소년기 친구관계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며, 이것은 친밀한 우정 안에서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낼 때 얻어질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청소년기(혹은 아동기 후기)에는 가장 친한 친구가 만들어집니다. 가장 친한 친구에게 존중받을 때 자기를 가치 있게 여기게 되며(Sullivan, 1953), 교감을 이루게 됩니다. 친구관계는 또한 어떠한 특성과 능력을 개발하는 맥락이 되는데, 단짝 친구가없는 청소년과 비교해, 단짝 친구가 있는 청소년은 타인의 정서를 더 잘 인식하였고 매우 높은 친밀감과 애착, 솔직함, 자발성, 민감성, 표현력, 교감 등을 관계에서 보여 줍니다. 이것은 청소년기 친한 친구와의 경험이 성인기 지지적 관계의 기초
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청소년기 공감능력과 이타심 발달은 사회적 인식을 발달시켜 친사회적 행동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청소년들은 더 높은 수준의 친밀감을 통해 우정을 형성하길 원하는데, 아동기와 비교해 볼 때, 청소년들은 우정이 더 높은 수준의 헌신과 충성, 수용, 인내, 지지를 바탕으로 하며 서로 털어놓고, 서로 의논하며, 서로 친밀감을 공유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청소년들은 친구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가장 즐거운 시간인 동시에 가장 중요하거나 사소한 일들까지도 규칙적으로 의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Berk,2007/2009).

 

2. 이성친구와의 관계
사춘기 호르몬의 변화는 성적 관심을 증가시키나, 이성교제의 시작 시기는 문화마다 다른데 예를 들어, 아시아 청소년들은 서구보다 더 늦게 시작하고 이성의 수도 더 적습니다. 서구에서는 중학교 때부터 이성끼리 사랑하는 것을 관대히 봐주고 격려도 해 줍니다. 12~14세까지 이러한 관계는 아주 짧게 지속되지만, 16세가 되면 평균적으로 기록 2년 정도 지속됩니다(Carver, Joyner, & Udry, 2003). 어린 청소년들은 기분전환이나 함께 어울리기 위해서 이성을 사귄다고 하나, 청소년 후기에는 심리적인 친밀감을 감당할 준비가 되면서 우의, 애정, 사회적 지원을 위한 누군가를 찾게 됩니다. (Furman, 2002).
  보통 동성 친밀감을 형성한 뒤 이성친구와의 친밀감을 갖게 되는데, 부모와 안정애착을 형성했거나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지지적이면 우정에 대해서도 안정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10대들은 우정에 있어 안전감을 맛보았을 때 이성친
구관계에서도 안전감을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Furman, Simon, Shaffer, & Bouchey, 2002). 따라서 부모와의 경험이 청소년들의 우정의 질에 영향을 주며, 우정에서 배운 것을 애정에도 적용시키게 됩니다.
너무 일찍 시작되지만 않는다면, 이성교제는 협동, 예절, 다양한 상황에서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 등을 배우도록 해 줍니다. 10대 후반에는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민감성, 공감, 사회적 지원, 정제성 발달이 향상됩니다(Collins, 2003). 그러나 첫사랑의 절반 정도는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이어지지 않고 이어지더라도 점차 만족도가 떨어지게 됩니다(Shaver. Fueman, & Buhrmester, 1985).

 

부모와의 관계
초기 청소년기 및 시춘기에는 부모와의 갈등이 최고조를 이루면서 고등학생 때 유지되다가 17세에서 20세 사이 완화되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을 가거나 집을 떠나게 되면서 차차 다시 좋아지게 됩니다.
아동기 이후 부모와의 갈등을 겪게 되는 이유는 생물학적인 변화와 인지적 변화 때문입니다. 즉, 이상화나 논리적 합리적 사고가 생기게 되어 독립성이 생기고 자아정체성 등에 집중하게 됨으로써 부모의 기대에 반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말이나 규칙 등에는 논리적 설명을 요구하게 되는데, 많은 부모들은 불순종하고 반항적인 청소년들의 의견을 무조건 바꾸려 하며 강압적인 태도를 취하게 됩니다. 청소년 자녀가 보다 성숙한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10년에서 많게는 15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렇듯 시간을 두며 지켜봐야 한다고 인식하는 부모는 청소년 자녀들을 보다 효율적이면서 조용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단시간에 부모의 기준을 따르도록 하거나 반대로 방임하는 태도는 좋지 않습니다.
또한 부모의 문제와 자녀의 문제를 함께 성숙시켜 나아가는 태도도 필요한데, 부모의 문제로 부부간 갈등, 경제적 어려움, 직업의 문제, 건강의 문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부간 불화는 청소년 자녀에게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청소년기 자녀에게 부모의 직업관과 직업적 성공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는 미래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도록하고, 앞으로 하고 싶은 것을 위한 시간이 많음을 강조해야 합니다(Berk, 2007/20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