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애착 발달 (5) 애착과 영아의 발달과의 관계 - 사회성 발달

카테고리 없음

by 뜌뜌뜌뜌뜌 2023. 6. 25. 20:36

본문

728x90
반응형

애착과 영아의 발달과의 관계
  애착의 안정성은 영아가 어머니를 주위 환경의 탐색을 위한 안전기반으로 삼는 능력과 관련되는 것으로, 안정애착 영아는 안전기반에 대한 확신을 가지나 불안애착 영아는 이러한 확신이 결여된 아기입니다. 영아의 애착은 영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애착의 안정성 여부는 영아의 이후의 여러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초기 애착은 후속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여기에서는 사회성발달, 정서적 발달 및 인지적 발달 측면에서 살펴본다.

 

1. 사회성발달
(1) 부모-자녀관계
  애착과 영아의 발달측면에서 가장 많은 관심이 주어진 것은 사회성 발달입니다. 볼비(1973)는 영아의 애착대상의 표상을 표상적 모델(representational model) 또는 내적 실행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이라 부르면서 영유아는 애착대상인 어머니를 내적모델로 삼아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해석하고 예측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볼비에 의하면 영아기의 부모와의 경험은 이후의 일반적인 대인관계에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사회성 발달이 보다 긍정적 측면과 관련됨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었을 때 이들의 대인관계, 즉 친구와의 관계나 이성과의 관계에도 깊은 관련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습니다(유효순, 1992; Hasen & Shaver, 1987).
  아마도 안정애착의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결과는 긍정적 부모-자녀관계일 것 입니다.

한 단기 종단연구(Frankel & Bates, 1990)에 의하면 낯선상황에서 분류된 안정애착 영아는 어머니와 과제를 해결하는 데 보다 열정적이며 협조적이었고 좌절감이나 화를 덜 나타냈습니다. 즉, 안정애착 영아는 생후 두 돌이 되었을 때 어머니와
보다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 또 하나 알 수 있었던 점은 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보다 민감하였으며 후속평가에서 자녀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고 자녀의 긍정적 행동을 지지해 주었습니다.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안정애착 영아-어머니 쌍은 보다 더 같이 작동을 잘 하였는데 이는 애착안정성과 후의 양방적인 부모-자녀의 상호작용 간에 일관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안정애착의 장점 중 하나가 마코비(Maccoby, 1984)가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 상호 호혜적인 대인관계 지향성(mutual interpersonal orientation of positive reciprocity)이라 부르는 것과 일치합니다. 이는 협동, 가치획득, 그리고 부모의 사회화 노력에 대한 영유아의 열정적인 반응의 기반이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가 유지되지 않으면 초기 안정적인 부모-자녀관계의 장점 또한 유지되지 않습니다.

(2) 또래관계
초기 안정애착의 영향은 비단 긍정적 부모-자녀관계에만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가족 이외의 대인관계로는 또래관계를 들 수 있습니다. 한 연구(Schneider,Atkinson, & Tardif, 2001)에 의하면 부모-자녀 간의 애착안정성과 아동의 또래관
계는 중간 정도의 관련성이 있어 애착안정성이 우정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들 연구자들은 또 유아기보다 아동중기나 청소년기에는 애착이 또래관계와 더 강한 관련성이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아동의 우정표상과 애착의 내적 작동모델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 견고해지고 정교화하는 데서 오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지지하는 연구(Raikes, Virmani, Thompson, &Pong, 2007) 결과를 보면 24개월 때 애착 Q-set로 애착의 안정성을 알아보고 이들이 54개월에서 84개월이 되었을 때 관찰해 보니 유치원이나 취학하여 또래 간의 갈등이 적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 다른 연구 (Bost, Vaughn, Washington, Cielinski, & Bradbard, 1998)에서는 안정애착을 형성한 아동
이 보다 넓고 지지적인 사회적 조직망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래관계 사회성 측정에서 높게 평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나 최초로 맺는 사회적 관계인 영아-어머니와의 애착관계는 바로 영유아의 사회성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왜냐하면 부모와의 안정애착관계는 영유아가 자신을 사랑받을 가치있는 존재로서 보게 하므로 안정애착은 물리적 환경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도 확신을 가지고 탐색하게 하며, 타인에게 보다 긍정적인 오리엔테이션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즉 안정애착은 영유아의 사회성 능력에 이중으로 작용을 하는데 우선 타인에게 긍정적인 지향반응을 하도록 함으로써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둘째, 애착대상이 실행모델로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격려함으로써 영유아가 또래로부터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성 능력을 간접적으로 지원합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들(유효순, 1992; 최진아, 박은민, 2011:Jacobson & Wille, 1986)을 보면 안정애착을 형성한 유아는 불안애착을 형성한 유아보다 놀이친구에게 더 긍정적으로 대하며, 놀이친구로부터 더 긍정적 반응을 얻
었습니다. 이들은 또래관계에 더 자신감이 있고 더 나은 사회성 기술을 보였으며 그뿐 아니라 안정애착을 형성한 유아들은 교사의 평정이나 또래의 사회성 평정에서 모두 높게 평정되었습니다. 생일잔치에 초대하고 싶은 친구를 들어보라는 사회성평정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안정애착 유아들은 불안애착 유아들보다 또래가 좋아하는, 생일에 초대하고 싶은 유아에 더 많이 선택되었으며 불안애착을 형성한 유아들은 또래로부터 공격적인 것으로 지각되었습니다. 나아가 안정애착 유아들은 불안애착 유아들보다 교사로부터 더 능력이 있는 유아로 평정되었습니다. 불안-회피 애착 유아들은 거부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져 또래관계에서 쉽게 공격적이거나 적대적으로 되며, 불안-저항 애착 유아들은 타인을 예측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대인관계에서 주저하거나 충동적으로 행동을 하였다고 합니다(Sroufe, 1983).

출처 : 픽사베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