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보기만 하는 것도 학습이 된다

카테고리 없음

by 뜌뜌뜌뜌뜌 2023. 5. 1. 22:12

본문

728x90
반응형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관찰학습 (observational learning)은 다른 수행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억하는 과정이며, 똑같은 환경에서 피험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수행하는 학습입니다. 특정 대상에 관한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그 대상에 관한 태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반두라Bandura는 관찰학습이 인간의 행동과 환경뿐만 아니라 인지, 즉 사고의 과정도 인간에게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왜냐하면 관찰학습에서는 사회적 환경과 인지능력이 학습과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기 때문입니다. 한 아동이 전과 다른 행동을 갑작스레 보인다면, 이 변화는 스키너나 파블로프가 말한 조건형성으로 학습된 것이라기보다는 타인의 행동을 관찰한 행동, 즉 모방행동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출처 : 픽사베이

주요 개념
1. 모델링(modeling)
모델이 되는 어떤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을 모델링이라고 합니다. 어떤 행동을한 사람이 인기가 있거나 영리하거나 재능이 있어 보일 때 사람들이 그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 자신들이 본 어떤 사람의 행동이 벌을 받을 때보다는강화를 받을 때 그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높은데 따라서 인간은 자신이 본 것과 들은 것을 기계적으로 복사해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해야 할 행동에 대한 여러 정보를 참고합니다.
모델링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로서 Bandura는 아동이 공격적인성인 모델을 관찰함으로써 공격성을 학습하는 과정을 연구하였습니다. 피험자는 3세~5세의 남녀 아동들이었습니다. 아동들은 성인이 보보인형(바람을 넣은 풍선 “
형)과 여러 가지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는 장면이 담긴 필름을 두 차례 시청합니다. 성인 모델은 인형 위에 앉아 코를 주먹으로 치고, 막대기로 인형 머리를 수차례 때리고, 발로 차고, 공을 인형에게 던졌습니다. 또 성인 모델은 '쾅쾅', '넘어져!',
아봐', '빵!'과 같은 말도 하였습니다.


아동들은 세 집단으로 나뉘었는데, 한 집단은 모델이 앞에서와 같은 공격적인행동을 하는 것으로 끝나는 필름을 보았고, 또 다른 집단은 모델이 공격적인 행동을 한 다음 다른 정인으로부터 벌을 받는 것을 보았으며, 나머지 한 집단은 모델
이 공격적인 행동을 한 다음 다른 성인으로부터 챔피언이라는 칭찬과 함께 음식으
로 보상받는 장면을 보았습니다. Bandura는 모델링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아동들을 그들이 본 필름 장면과 유사한 놀이방으로 데려가서 그곳에서 아동들이 필름에서 본 공격적인 반응을 고방하는 빈도를 측정하였습니다.

그 결과, 모델이 벌 받는 장면을 본 집단의 아동들은 다른 두 집단의 아동들보다 공격성을 덜 모방하였습니다. 그
러나 모델이 보상받는 장을 본 집단과 모델이 벌도 보상도 받지 않은 장면을 본집단의 아동들은 공격성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남아 여아보다 전반적으로 더 공격적이긴 했지만 모델링의 효과는 남아와 여아에게서 유사하게 나타났습니다.
공격성뿐 아니라 친사회적 행동도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습득될 수 있는데, 이때 모델이 능력 있거나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일수록 더 자주 모방의 대상이 됩니다. 부모는 친사회적 행동에 있어 가장 강력한 모델입니다. 부모가
아동에게 공감과 배려를 하는 모습을 보여 주거나 친사회적 행동의 가치를 가르쳐주고, 아동의 어떤 행동이 잘못된 이유와 그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고통을 설명해 주는 것은 아동의 친사회성을 촉진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Eisenberg,Fabes, Schaller, Cario, & Miller, 1991).
모델링은 아동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성인기에도 학습의 주요 기제로 작용합니다.



2. 관찰학습의 과정
관찰학습은 모델의 행동에 집중하고, 그것을 기억하고, 그것을 수행할 능력을 갖추고, 그것을 하고자 동기화되는 네 과정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① 주의(attention):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과정
모델의 특성뿐 아니라 관찰자의 특성이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델이 능력있고 지위가 높고 매력적일 때, 모델과 반복적으로 접촉할 때, 모델의 행동이 실제적인 면에서 가치가 있을 때 더 모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관찰자의 흥미와
욕구, 각성 및 동기 수준, 과거에 강화를 받은 경험 등이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② 파지(retention): 관찰한 행동을 기억 속에 저장하는 과정
파지는 상징적 부호화, 인지적 조직화, 암송 등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③ 운동재생 (motor reproduction): 관찰한 행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과정
기억하고 있는 모델의 행동을 재생하는 과정입니다. 개인의 신체 능력 한도 안에서 반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능력이나 신체적 성숙이 필요합니다. 수행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나 다른 사람이 제공하는 피드백이 수행의 향상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④ 동기(motivation): 관찰한 행동을 하는 것이 가시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

만약 동기가 있다면 그 행동을 하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행동을 하면 보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 때 수행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동기는 보상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모델이 보상을 받는 것을 관찰한 후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자신의 행동을 규제하면서 스스로에게 강화를 줌으로써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3.상호결정론(reciprocal determinism)
Bandura는 보다 최근의 이론에서 인간이 능동적으로 주위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존재라는 점과 인지능력이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수정하여 인지사회학습 이론(cognitive social learning theory)
이라고 불렀습니다. 이 이론의 핵심인 상호결정론(reciprocal determinism)은 개인, 환경, 행동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상호작용한다는 개념입니다.

.환경
• 개인(person) = 내적 요인(신념, 사고, 기대)
• 행동(behavior) = 개인의 행동
*환경(environment) =외적 요인(보상, 벌)
상호결정론의 예로 이동(개인), 놀이터(환경), 놀이(행동) 간의 상호작용을 들 수 있습니다. 놀이터(환경)는 아동에게 놀이(행동)를 하도록 합니다.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아동(개인)은 다른 아동들과 함께 놀고 싶어 합니다(행동). 놀이하는 데 시간을 많이 보내면(행동) 부모로 하여금 아동의 학업에 대한 염려를 하도록 만들 수 있으나(환경), 아동은 또래관계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개인).


4.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자기효능감이란 상황이 요구하는 행동을 자신이 잘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 즉 유능성에 대한 인식을 의미합니다. Bandura는 자신의 능력과 재능에 대한 신념이 인간발달에 있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인간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을 때 스스
로에 대해 확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자신에게 요구되는 행동을 잘할 수 있을지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 낮습니다.
Bandura는 자기효능감을 영역 특정적이라고 하였습니다. 즉, 어떤 영역에서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해서 다른 영역에서도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운동기술에 대해서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반면, 미술활동에 대해서는 자기효능감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